- 힙(Heap)
: 힙의 특성* 을 만족하는 거의 완전한 트리(Almost Complete Tree)인 특수한 자료구조
* 힙의 특성: 최소 힙(Min Heap)에서는 부모가 항상 자식보다 작거나 같음
: 우선순위 큐의 heapq 모듈이 힙으로 구현됨 (heapq.heappush() 및 heapq.heappop())
: 우선순위 큐는 힙으로 만들어지며, 힙은 배열로 만들어지지만 항상 정렬된 구조를 갖지 않음
: 인덱스는 1부터 시작(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)하며, 자식 노드로 레벨이 내려갈 수록 인덱스는 2배씩 커짐 (왼쪽 노드 기준)
: 우선순위큐, 다익스트라 알고리즘, 중앙값의 근사값 찾는 문제에 활용
- 삽입 연산 - Up Heap 사용
- 요소를 가장 하위 레벨의 최대한 왼쪽으로 삽입한다.
- 부모 값과 비교해 값이 더 작은 경우 위치를 바꾼다.
- 가장 작은 값이 루트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2를 반복한다.
# 이진 힙 구현
class BinaryHeap(object): # 인덱스 0 비워둠
def __init__(self):
self.items = [None]
def __len__(self): # 마지막 요소의 인덱스 가져오기 위함
return len(self.items) - 1
# 삽입 -> heapq.heappush()
def _percolate_up(self):
i = len(self) # index
parent = i // 2 # 레벨 별 인덱스가 2배가 되므로
while parent > 0:
if self.items[i] < self.items[parent]:
self.items[parent], self.items[i] = self.items[i], self.items[parent]
i = parent
parent = i // 2 # 위의 단계 반복
def insert(self, k):
self.items.append(k) # 배열의 맨 마지막에 할당
self._percolate_up() # 부모노드와 자리 바꾸기
- 추출 연산 - Heap Down 사용
Heap 추출시에는 루트 노드부터 제거한다. 이후, 아래 노드들 중 가장 작은 노드 (최소힙이므로)를 찾을 때까지 재귀구조로 노드의 위치를 swap하여 힙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만든다.
# 최소 힙 알고리즘 구현
def _percolate_down(self, idx):
left = idx * 2
right = idx * 2 + 1
smallest = idx
if left <= len(self) and self.items[left] < self.items[smallest]:
smallest = left
if right <= len(self) and self.items[right] < self.items[smallest]:
smallest = right
if smallest != idx:
self.items[idx], self.items[smallest] = self.items[smallest], self.items[idx] # swap
self._percolate_down(smallest)
# 추출 -> heapq.heappop()
def extract(self):
extracted = self.items[1] # 루트 값 추출
self.items[1] = self.items[len(self)]
self.items.pop()
self._percolate_down(1)
return extracted
'Programming > #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트리 순회 - 재귀구조 DFS로 preoder, inorder, postorder 구현 (Python) (0) | 2021.06.30 |
---|---|
[Python] 모듈과 활용 (1) (실습 결과 포함) (0) | 2021.01.23 |
[Python] 함수와 입출력 (fin) (실습 결과 포함) (0) | 2021.01.17 |
[Python] 함수와 입출력 (2) (실습 결과 포함) (0) | 2021.01.14 |
[Python] 함수와 입출력 (1) (실습 결과 포함) (0) | 2021.01.13 |